top of page
로고1.png
.png

“ …그렇네요. ”

두상

미츠요시 성인 두상.png

외관

미츠요시 성인전신1최종.png

길게 길러 땋은 머리는 써클렛을 달아놓은 천으로 묶어두었다.

기본적인 옷차림, 짙은 눈매와, 허연 피부…

 

 

 

 

 

 

이름

츠치미카도 미츠요시 / つちみかど  みつよし


 

 

 

나이

20

 

 

 

성별

 

신장/체중

176cm/60kg

 

 

성격

침착함, 섬세함, 유연함

 

 

출신마을

바위

 

속성

토둔

 

 술법

백각토충,百脚 土蟲

토둔을 사용하며, 차크라를 통해 지네를 비롯한 것들을 다루고 조종할 수 있다.

특별한 술법은 없이 그들이 움직일 수 있게 땅을 파헤치거나 길을 터주는 것, 그리고 차크라를 배불리 먹여 키우는 것 또한.

 

정해진 소환수나 곤충은 따로 없이 원할 때에 썩은 나무를 찾아가 그것들을 찾아내 키우곤 한다. 하지만 이렇게 찾아내는 것은 너무나도 확률적인 탓에 찾아낸 것들과는 잘 맞지 않거나 금방 죽어버리는 경우가 있어 곤란해할 때도 있다.

 

 

사용하는 인술의 경우

인,E// 연와의 술, 인을 맺고 차크라를 사용해 원하는 높이의 토벽을 쌓는다.

 

인,E// 적충, 차크라를 먹인 것을 조종하여 목표를 공격한다.

 

인,E// 온미(기식 술), 자신이 키우던 것을 먹어 차크라를 일정량 복구한다.

 

 

 

아래는 설정상 등록된 술법들이며 커뮤니티 내 사용x

인,C // 청혈淸血 : 챠크라를 이용해 혈관 내부를 건드려 독으로 인해 굳어버린 피들을 맑게 할 수 있다. 아직은 실력이 부족하기도 하며 술법 사용의 한계가 있어, 중독의 초기에만 사용이 가능. 환자의 상태가 심각하다면 효과가 미미한 정도에 이르지만 조금이나마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는 있다. 

 

인,C // 초거憷祛 술 : 독을 사용해 이전의 고통을 누른다. 신경계를 억제하여 통증을 억제하는 것과 다름이 없어 원상태로 다시 돌아오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고통 경감을 위한 것이 목적이었으나 부작용은 무고통으로 인해 무리하게 활동을 하는 것과 중독 상태에 빠지게 되는 것. 

 

인,C // 흡충 : 치료를 위해 기르던 것을 몸통 자체로 흡수를 시켜 회복에 도움을 준다. 회복력은 쓸 만 하지만 회복 속도 자체는 느린 편이다.


 

 

 

기타

土御門  充巧/Tsuchimikado  Mitsuyoshi/09.01

츠치미카도, 그들은 나무의 아래에 사는 토충을 키워 자신의 도구로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반려나 소환수라기 보다도 말 그대로인 도구, 그 이상의 감흥은 없는 듯 그들에게 이름조차도 지어주지 않는다. 휴식이 필요할 때에는 자유롭게 놓아주어 원하는 시간을 갖게 두지만 피치 못할 상황에는 자신이 키운 것들을 먹어 차크라를 보충할 수 있다.  

 

개개인이 선택한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미츠요시는 어릴적부터 지네를 택하였으며, 현재에 사용하는 것은 130쌍의 다리와 적색의 몸통을 가졌다.  날카로운 발톱에는 독샘이 존재한다.

 

아부라메와 카미즈루 일족에 대해서는 별 생각 없는 집안, 풍족하지 못한 탓에 먹고 살기 위해 도구를 구하게 된 케이스기 때문에 다른 일족들과 자신들을 비교하지는 않는다.  

 

 

 

 

선관

 

 

 

후관

츠무유키 츠카사::

같은 마을에서 함께 지내며 종종 그에게서 이야기를 듣고는 했다. 자신에 관한 이야기, 히로와 리쿠에 대한... 그의 이야기를 들어주었을 뿐, 별다른 행동은 없었으나 츠카사를 걱정어린 눈으로 보고는 했다.

 

 

오토나시 히로 ::

인의단 해체 이후로는 한번, 만난 적이 있다. 부상을 당한 오토나시를 국경 근방에서 우연하게도. 그를 치료해준 후로는 가끔 편지를 주고 받기도 했다. 연락이 끊기기 전까지만.

 

 

타미노 레이::

그 이후로 얼굴을 본 적은 없었지만 그와는 종종 연락을 주고 받았다. 특별한 내용 없이 그의 안부, 짧은 인사와 같은 것들. 지금은 만나지 못하더라도 다시 만나게 될 날을 기대하고 있다.

Unknown Track - Unknown Artist
00:00 / 00:00
bottom of page